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7월 취업자 82.6만명 증가... 증가폭 두달째 둔화

  • 등록 2022.08.10 09:26:31

[TV서울=이현숙 기자] 7월 취업자가 1년 전보다 80만명 넘게 늘었지만, 증가 폭은 두 달째 둔화했다.

 

취업자 증가 폭의 절반 이상은 여전히 60세 이상 고령층이었고, 임시·일용직 취업자는 줄었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7만5천명으로 지난해 보다 82만6천명 증가했다.

 

증가폭은 같은 달 기준으로 2000년(103만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다.

 

 

취업자는 지난해 3월 이후 17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 폭은 5월 93만5천명에서 6월 84만1천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7월까지 두 달째 감소했다.

 

올해 1월과 2월 100만명 이상을 기록한 취업자 증가폭은 지난 3월 83만1천명으로 축소됐다가 4월 86만5천명, 5월 93만5천명으로 다시 확대된 후 6월부터 다시 둔화하는 모습이다.

 

정부는 취업자 증가폭 둔화 국면이 앞으로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6월 고용동향 발표 당시 "하반기부터 취업자 증가 폭은 점차 둔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7월 취업자 증가는 제조업이 견인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17만6천명 증가해 2015년 11월 18만2천명 이후 가장 많이 늘었다. 반도체 수급 개선과 수출 호조 등의 영향이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3만명), 정보통신업(9만5천명), 농림어업(9만3천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8만6천명), 숙박·음식점업(5만4천명)은 취업자가 증가한 반면, 협회·단체·기타개인서비스업(-2만3천명), 금융·보험업(-2만1천명), 도·소매업(-1만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줄었다.

 

7월 취업자가 많이 늘었지만, 증가한 취업자 중에서 60세 이상 고령이 47만9천명이다.

 

50대는 19만4천명, 20대는 9만5천명, 30대는 6만2천명 증가했지만, 40대 취업자는 1천명 줄어 지난해 11월 -2만7천명 이후 8개월 만에 다시 감소했다. 통계청은 이와 관련해 40대 인구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상용근로자는 89만5천명 늘었으나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각각 5만2천명, 7만7천명 감소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7만8천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만9천명 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9%로 작년 같은 달보다 1.6%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1982년 월간 통계 작성 이래 7월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실업자는 1년 전보다 8만4천명 감소한 83만6천명이다. 올해 들어 실업자 감소폭이 매달 20만∼40만명대였던 것을 고려하면 감소폭은 다소 축소됐다.

 

실업률은 2.9%로 0.3%포인트 떨어졌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년 전보다 57만5천명 줄은 1,594만7천명이다. 연로(10만4천명)에서만 증가하고 쉬었음(-18만3천명), 재학·수강 등(-14만5천명), 육아(-14만2천명)에서는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도 18만8천명 감소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는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 인구가 감소해 고용 증가세가 지속됐다"고 말했다.

 


아미타브 고시, 박경리문학상 수상… "인간 아닌 존재 목소리, 문학이 전해야"

[TV서울=변윤수 기자] "최근 20년 동안 세계 모든 문화의 선구자인 한국에서 이런 상을 받게 돼 자랑스럽습니다. 한국은 비(非)서구 국가에서 100년 넘게 찾아볼 수 없는 유례없는 큰 업적을 보여줬고, 모든 면에서 세계 문화의 지도자가 되고 있죠." 세계적인 작가 아미타브 고시(69)는 2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박경리문학상 수상작가 기자간담회에서 소감을 밝히며 한국 문화가 이룬 성취를 언급했다. 고시는 "인도에서도 한류가 아주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서구가 아닌 아시아 국가의 문화가 영향을 끼치는 것은 굉장히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 인도 출신 미국인으로 영어로 작품 활동을 하는 고시는 "지난 100년 동안 유럽 언어, 특히 영어로 작품을 쓴 작가들이 세계 문학계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인도의 작가들은 뛰어난 실력이 있는데도 서구 작가들에 비해 인정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행히도 현재 상황이 변모하고 있다"며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데서 알 수 있듯 지평이 변화하고 있고, 인도 작가들도 대중에 존재를 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시는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근대사를 다룬 장편소설 '유리 궁전', 기후






정치

더보기
교육위 국감서 강원대 공자학원 운영 및 교수 비리 등 질의 [TV서울=나재희 기자] 22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경북대와 강원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감사위원들은 강원대의 공자학원 운영과 교수 비리, 경북 영주 고교생 학교폭력 피해 사건 등에 대해 주로 질의했다. 이날 오전 경북대와 강원대 등에 대한 국감에서 국민의힘 서지영(부산 동래구) 의원은 "공자학원은 미국 FBI가 스파이기관으로 규정했는데 강원대에서 운영되고 있다"며"중국의 체제선전 도구로 전락해 미국 등에서 퇴출 운동을 하는 공자학원이 국가정체성에 맞지 않는다면 퇴출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2년 강원대 공자학원에서 연 중국어 손 글씨 대회에서 마오쩌둥이 홍군의 대장정을 미화해 중국 건국 신화로 알려진 시를 쓴 작품이 대상을 받았다"며 "공자학원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고 퇴출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만큼 검증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사반장인 국민의힘 조정훈(비례대표) 의원도 "강원대에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이 들어오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국감 위원들의 지적을 검토해서 종감 전까지 공자학원의 폐쇄 여부를 결정해달라"고 당부했다. 더불어민주당 고민정(서울 광진구을) 의원은 "서지영 의원의 의견에 공감한다. 전국에 23∼24개의 공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