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코스피, 1% 상승한 2,230대 마감

  • 등록 2022.10.24 16:33:59

 

[TV서울=신예은 기자] 코스피가 24일 대내외 호재와 악재에 등락하다가 전 거래일보다 23.04포인트(1.04%) 오른 2,236.16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35.14포인트(1.59%) 오른 2,248.26에 개장했다가 장 중 2,256.67까지 오르기도 했으나 시간이 흐르며 상승 폭 일부를 반납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3,248억원, 1,498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반면 개인은 4,839억원을 순매도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9.8원 내린 1,430.0원에 출발했으나 낙폭을 대부분 되돌려주며 0.1원 내린 1,439.7원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상승 출발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속도조절론이 대두된 데 이어 한국 정부가 자금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함에 따라 '패닉'에 가까웠던 투자 심리가 안도 내지 관망으로 돌아선 영향으로 해석된다.

 

시장은 특히 지난 22일(현지시간)부터 11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끝날 때까지 2주간 연준 위원들의 외부 공개 발언을 금지하는 '블랙 아웃' 기간에 들어가면서 연준의 속도조절 가능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양새다.

 

또 자금시장 경색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50조원 넘는 돈을 풀기로 하면서 투자자들은 당분간 당국과 경제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방향을 탐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기대와 안도 속에서 장 초반 2,250선을 상회했던 코스피는 오후 들어 상승 폭을 점차 반납하며 2,229.85까지 내려갔다가 2,230대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국발 증시 변동성 확대 영향에 코스피도 오후 들어 점차 상승 폭을 반납하는 양상"이라며 "중국의 권력 중앙 집권화로 체제에 대한 우려가 커져 중화권 증시가 하락한 점이 악재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이날 홍콩 항셍지수와 홍콩H지수는 중국 경제 사령탑 교체 예고로 인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5∼6%대 폭락했다. 같은 날 발표된 중국 경제 지표도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해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9월 소매판매와 수출 증가율이 부진을 면치 못하는 등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10위권에서는 국내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2.86%), LG에너지솔루션(2.00%), SK하이닉스(1.44%), 삼성바이오로직스(3.07%), 삼성SDI(3.67%) 등 과반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현대차(-3.29%), 네이버(-1.20%), 기아(-3.83%)는 약세로 마감했다. 최근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먹통 사태'를 겪은 카카오는 장 초반 상승세에 5만원대를 회복하기도 했으나 종가는 전 거래일보다 0.82% 하락한 4만8,450원에 장을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전날 정부의 유동성 공급 결정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시장이 안정된 건설업(2.45%), 증권(1.71%)을 필두로 비금속광물(3.25%), 의료정밀(3.17%), 의약품(2.79%) 등 다수 업종이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02포인트(2.08%) 상승한 688.50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1.95포인트(1.77%) 오른 686.43에 출발한 뒤 장 중 693.44까지 오르기도 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987억원, 1,127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3,165억원 매도 우위다.

 

시가총액 상위권에서도 에코프로비엠(0.56%), 셀트리온헬스케어(2.82%), 엘앤에프(3.88%), HLB(6.24%), 카카오게임즈(0.53%) 등 대부분이 전 거래일보다 상승한 채로 마감했다.


아미타브 고시, 박경리문학상 수상… "인간 아닌 존재 목소리, 문학이 전해야"

[TV서울=변윤수 기자] "최근 20년 동안 세계 모든 문화의 선구자인 한국에서 이런 상을 받게 돼 자랑스럽습니다. 한국은 비(非)서구 국가에서 100년 넘게 찾아볼 수 없는 유례없는 큰 업적을 보여줬고, 모든 면에서 세계 문화의 지도자가 되고 있죠." 세계적인 작가 아미타브 고시(69)는 2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박경리문학상 수상작가 기자간담회에서 소감을 밝히며 한국 문화가 이룬 성취를 언급했다. 고시는 "인도에서도 한류가 아주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서구가 아닌 아시아 국가의 문화가 영향을 끼치는 것은 굉장히 놀라운 일"이라고 말했다. 인도 출신 미국인으로 영어로 작품 활동을 하는 고시는 "지난 100년 동안 유럽 언어, 특히 영어로 작품을 쓴 작가들이 세계 문학계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해왔다"며 "인도의 작가들은 뛰어난 실력이 있는데도 서구 작가들에 비해 인정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다행히도 현재 상황이 변모하고 있다"며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은 데서 알 수 있듯 지평이 변화하고 있고, 인도 작가들도 대중에 존재를 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시는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근대사를 다룬 장편소설 '유리 궁전', 기후






정치

더보기
교육위 국감서 강원대 공자학원 운영 및 교수 비리 등 질의 [TV서울=나재희 기자] 22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경북대와 강원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감사위원들은 강원대의 공자학원 운영과 교수 비리, 경북 영주 고교생 학교폭력 피해 사건 등에 대해 주로 질의했다. 이날 오전 경북대와 강원대 등에 대한 국감에서 국민의힘 서지영(부산 동래구) 의원은 "공자학원은 미국 FBI가 스파이기관으로 규정했는데 강원대에서 운영되고 있다"며"중국의 체제선전 도구로 전락해 미국 등에서 퇴출 운동을 하는 공자학원이 국가정체성에 맞지 않는다면 퇴출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2년 강원대 공자학원에서 연 중국어 손 글씨 대회에서 마오쩌둥이 홍군의 대장정을 미화해 중국 건국 신화로 알려진 시를 쓴 작품이 대상을 받았다"며 "공자학원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고 퇴출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만큼 검증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사반장인 국민의힘 조정훈(비례대표) 의원도 "강원대에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이 들어오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국감 위원들의 지적을 검토해서 종감 전까지 공자학원의 폐쇄 여부를 결정해달라"고 당부했다. 더불어민주당 고민정(서울 광진구을) 의원은 "서지영 의원의 의견에 공감한다. 전국에 23∼24개의 공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