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천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처음 국민 청원에 답변했다.
문 대통령은 19일 청와대 본관 집무실에서 국민청원 도입 4주년을 맞아 난임 치료 비용 부담 완화,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 지원 확대, 보건소 간호사 처우 개선, 필수업무 종사자 처우 개선 등 4건의 국민청원에 직접 답변했다.
문 대통령은 "국민과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국민청원은 우리 정부의 상징이 됐다"며 "해결할 수 없거나 정부 권한 밖의 청원도 꽤 있지만, 설령 해결은 못해주더라도 국민이 호소할 곳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청원인들의 간절한 호소가 한 개인의 민원을 넘어 국민의 공감을 얻고 제도 개선에 이른 사례들도 많다"며 "우리 사회를 한 걸음 한 걸음 전진시키는 동력이 됐다. 함께 힘을 모아주신 국민께 감사드린다"고 했다.
또 "정부의 권한 밖이거나 정치적인 내용이어서 답변하기 곤란한 청원도 있지만, 국민청원에 늘 귀 기울이고 국민과 성심껏 소통하겠다"며 "무엇보다 국민의 목소리를 국정에 담아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청원은 지난 2017년 8월 19일 문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아 도입됐다. '국민이 물으면 정부가 답한다'는 원칙에 따라 정부는 20만명 이상 동의를 얻은 청원에 대해 답변을 내놓았다.
지난 7월 31일 기준으로 국민청원에 올라온 총 게시글은 104만5,810건이며, 누적 동의자는 2억932만4,050명에 달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20만명 이상의 동의를 얻지 못해 답변 요건을 충족하지는 않지만, '관심을 가져야 할 사안'을 선택해 답변하며, "동의 수가 적다고 해서 덜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