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천용 기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정치 입문 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지지율이 답보하는 가운데 처가 리스크에 이어 불거진 '고발사주 의혹', 당내 경쟁 주자들의 집중견제, 외연 확장 우려까지 다각도로 부담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무엇보다 검증 칼날이 쉼 없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윤 전 총장 관련 파일을 차곡차곡 준비하고 있다"며 '윤석열 X파일'을 언급한 이래로 의혹 제기가 잇따르는 모양새다.
지난해 4월 총선을 앞두고 여권 인사들에 대한 고발을 야당에 사주했다는 의혹은 '공정과 상식'이라는 윤 전 총장의 브랜드에도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윤 전 총장 본인이 직접 관여한 정황을 의심받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앞서 불거진 처가 리스크보다 치명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캠프 관계자는 5일 통화에서 "진실 여부와 무관하게 매번 냄새만 피워도 타격이 너무 크다"며 "1위 주자라 과감한 법적 대응도 여의치 않은 게 사실"이라고 했다.
사생결단 추격에 나선 당내 주자들의 내부 견제도 더 거세지고 있다. 윤 전 총장이 구체적인 정책 공약을 제시하지 못한다고 비난하던 경쟁 주자들은 정작 그가 '청년 원가주택'을 첫 공약으로 내놓자마자 "정책의 기본도 모른다"고 달려들었다.
경선 여론조사의 '역선택 방지조항' 도입을 둘러싼 갈등과 맞물려,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의 압박은 최고수위로 치닫는 양상이다. 외연 한계에 대한 의구심도 풀어야 할 과제다.
윤 전 총장이 여전히 보수 결집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으나, 친문을 뺀 모든 세력을 규합하겠다는 '빅텐트론'과는 달리 중도·호남권을 중심으로 한계가 노출된 것 아니냐는 것이다.
2030세대의 지지세도 전체 지지율에 비해 미미한 편이다. 최근 홍준표 의원의 지지세가 가파르게 상승한 것도 이러한 틈새윤 전 총장으로선 대권고지 등반의 초입부터 동시다발적인 악재를 마주한 셈이다.
결국 경선 과정에서 본선 경쟁력을 증명하고 자신에 대한 대중의 불안감을 불식하는 것은 오롯이 본인의 몫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역설적으로 악재를 털어낸다면 정권교체 여론을 중심으로 대권행보의 순풍을 끌어낼 수도 있다.
를 파고든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