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천용 기자]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지난해 각각 392억 원, 246억 원의 수입을 공시했다.
30일 고용노동부의 노동조합 회계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한국노총의 지난해 수입 총계는 392억5718만 원이다.
이 가운데 229억 원이 전년도 이월금이었고, 조합비 59억9천만 원, 수익사업 수입 56억2천만원, 보조금 수입 39만8천만 원 등이다.
한국노총은 지난 5월 노동부의 회계자료 제출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국고보조금 지원사업에서 탈락했기 때문에 올해 보조금 수입은 0원이다.
작년 지출 내역 중엔 인건비가 42억9천만 원을 차지했고, 기타 운영비로 30억3천만 원을 지출했다. 조직사업비로 4억5천만 원, 교육·홍보사업비로 4억3천만 원 가량을 썼고, 240억 원을 차년도로 이월했다.
한국노총은 조합원 수 132만882명, 자산 총계는 약 523억 원으로 공시했다.
민주노총의 경우 전년도 이월금 46억 원을 포함한 작년 수입 총계는 246억3,300만 원이었다.
민주노총은 조합비 대신 하부조직 부과금(180억9천만 원)으로 수입을 집계했다. 보조금과 수익사업 수입은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다.
수입 중 90억6천만 원을 인건비로 지출했고, 46억3천만 원을 하부조직 교부금으로 썼다. 43억8천만 원이 내년 회계로 이월됐다.
민주노총의 조합원 수는 112만199명, 자산 총계는 87억7천만 원이다.
정부는 노조 회계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회계공시 제도를 도입했다. 공시 자체는 자율이지만, 공시하지 않은 노조는 조합비에 대한 15%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마감일인 이날까지 작년 회계 결산 결과를 공시해야 내년 연말정산에서 올해 10∼12월 조합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받게 된다.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정부의 이러한 방침에 반발하면서도 조합원들의 경제적 불이익을 우려해 회계공시에 참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