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종합


트럼프와 경선했던 헤일리 "트럼프 도울 준비됐지만 요청 없어"

  • 등록 2024.09.09 09:03:00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초박빙 승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공화당 내 비(非)트럼프 대표 주자인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헤일리 전 대사는 8일(현지시간) CBS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위해 선거운동을 하겠느냐는 질문에 "그는 내가 대기하고 있음을 알고 있다. 나는 지난 6월에 그와 대화했고 그는 그가 필요로 하면 내가 준비됐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토론 준비를 돕거나 트럼프 캠프와 대화하고 있냐는 질문에도 "아니다. 그리고 알다시피 그건 그의 선택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팀들이 서로 약간 대화했던 것 같지만 아직 (도와달라는) 요청은 없었다. 하지만 그가 물어본다면 나는 기쁘게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헤일리 전 대사는 마가(MAGA·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 구호이자 그를 지지하는 극우 성향의 공화당을 지칭하는 표현) 공화당에 맞서 전통적인 보수 가치를 표방하며 대선 경선에 도전했으나 한계를 체감하고 사퇴했다.

이후 그는 지난 5월 트럼프 지지를 선언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헤일리 전 대사나 그녀의 지지층을 포섭하려는 별 노력을 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헤일리 전 대사는 이날 인터뷰에서 자신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스타일이나 소통 방식 등에 완전히 동의하지 않지만, 민주당 후보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인 상황에서 트럼프를 지지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헤일리 전 대사는 "바이든 행정부의 기록이 있고 트럼프의 기록이 있다. 둘 다 완벽하지도 이상적이지도 않다. 내가 그런 기록을 볼 때 트럼프와 모든 면에서 찬성하지는 않지만, 정책의 상당 부분은 찬성한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를 좋은 후보로 생각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난 그가 공화당 후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또 공화당 부통령 후보 J.D. 벤스 상원의원이 자녀 없는 여성 폄하 발언으로 논란이 된 것에 대해서는 여성 표심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정치

더보기
우원식 의장, 내란특검 참고인 조사…"역사정의 세우는데 도움되길" [TV서울=이현숙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은 7일 '국회 계엄 해제 방해 의혹'과 관련해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에 직접 출석해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 조사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7시간 반가량 이뤄졌다. 우 의장은 조사를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특검이 궁금해하는 점들에 대해 사실관계에 따라 잘 설명해 드렸다"며 "저의 진술이 역사의 정의를 세우고 사실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특검팀이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충돌한 것과 관련해서는 "참 부끄러운 일"이라며 비판했다. 우 의장은 "국가를 대표했던 분인데 최소한의 품위를 지켜주길 요청한다"며 "지금이라도 나와서 수사를 받길 원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체포를 거부한다고 해서 진실이 없어지는 건 아니다"며 "진실은 진실대로 드러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 의장은 윤 전 대통령의 불법적인 비상계엄을 해제시킨 국회의 대표로서 이날 조사에 출석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이후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의결까지 약 155분간 국회를 관리했다. 특검팀은 우 의장을 상대로 계엄 해제 과정에서 국민의힘 지도부 차원의 조직적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