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9.7℃
  • 맑음강릉 18.2℃
  • 맑음서울 18.7℃
  • 맑음대전 21.2℃
  • 맑음대구 22.0℃
  • 맑음울산 22.0℃
  • 맑음광주 20.7℃
  • 맑음부산 17.5℃
  • 맑음고창 16.9℃
  • 맑음제주 18.9℃
  • 맑음강화 16.1℃
  • 맑음보은 19.9℃
  • 맑음금산 20.8℃
  • 맑음강진군 21.4℃
  • 맑음경주시 23.4℃
  • 맑음거제 19.9℃
기상청 제공

정치


與 '추경 대폭증액 반대' 홍남기 비난…노웅래 "당장 목을 쳐야"

  • 등록 2022.02.19 11:39:47

 

[TV서울=나재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들은 18일 추경 증액 규모로 '2조원 + 알파(α)'라고 밝힌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맹비난했다.

 

민주당이 소상공인 손실보상 등 코로나 지원을 위해 대규모 추경 증액을 압박했으나 홍 부총리가 이날도 "감내할 수 있는 추경 증액 규모는 2조원+α"라면서 반대하자 발끈한 것이다.

 

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장인 노웅래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 글에서 "홍 부총리의 마치 선심 쓰는 듯한 고압적 발언에 귀를 의심하게 된다"면서 "곳간 지기를 시켜 놓았더니, 되레 자기가 주인"이라고 비판했다.

노 의원은 "민주당이 주장해온 35조(원) 추경은 근거 없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기재부가 잘못 추계해 더 걷은 세금을 한계에 도달한 자영업자들에게 돌려주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홍 부총리는 반성은커녕, 오히려 국민 목소리를 무시하고 훈계하고 있다"면서 "한마디로 적반하장이다. 당장 목을 쳐서 국민의 울분이라도 풀어줘야 한다"고 맹비난했다.

 

당내 '이재명계' 좌장으로 꼽히는 정성호 의원도 SNS에서 "정부는 도대체 뭐 하라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이 죽어 가고 있는데 추경의 대폭 증액도 반대하고 방역 대책도 하나 마나 한 것을 완화라고 내놓았다"고 말했다.

 

우원식 의원은 SNS에서 "생사를 다투는 국민 앞에 재정당국은 반성해야 한다"면서 "이재명 정부에서는 이런 재정당국을 개혁해 민생 경제를 국정 중심에 놓은 새로운 정부 만들겠다는 다짐을 드린다"고 밝혔다.

 

민병덕 의원도 '이재명 "3차 접종자 대상 밤 12시 영업 문제없어…관료들이 문제'라는 이재명 후보의 발언을 소개한 연합뉴스 기사를 SNS에 링크하며 "방역과 손실보상에 관한 관료의 결정이 문제다. 그런데 총리님은 또 왜 그러신지"라며 불만을 나타냈다.


서울시, ‘이순신 기념관’ 건립 추진… 남산골한옥마을에 2028년 개관 목표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시는 오는 2028년까지 중구 필동 남산골한옥마을 소나무숲 부지에 ‘이순신 기념관’(가칭) 건립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순신 기념관은 지난해 한국갤럽 조사에서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1위에 오른 이순신 장군을 기리는 공간이다. 연면적 7,600㎡에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로 전시 및 체험 공간, 교육, 연구 공간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시는 기념관 건립을 통해 이순신 장군의 생애에 있어 '서울'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장군의 업적과 정신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린다는 목표다. 이순신 장군은 서울 중구 인현동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고 훈련원(지금의 동대문)에서 중앙 관직을 수행했다. 종각 일대는 백의종군 출발지였다. 시 관계자는 “현재 광화문광장 지하 세종이야기·충무공이야기 전시만으로는 정보를 충분히 전달할 수 없어 장군의 생애와 리더십 전반을 보다 깊이 조명하는 상설 전시·교육 공간 등 전용 시설이 필요하다”며 “기념관은 서울이 지닌 충무공 관련 역사적 자산을 집대성하고 전국의 이순신 관련 시설과 서울, 나아가 세계를 연결하는 중심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2028년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정치

더보기
이재명, "국내생산 반도체 최대10% 세액공제…반도체특별법 신속제정" [TV서울=나재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28일 페이스북을 통해 "압도적 초격차·초기술로 세계 1등 반도체 국가를 만들겠다"며 "이를 위해 반도체특별법을 신속하게 제정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올린 글에서 "글로벌 경제패권은 누가 반도체를 지배하느냐에 달려 있다. 반도체를 지키는 것은 우리 미래를 지키는 것"이라며 후보 선출 후 1호 공약으로 반도체 산업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미국, 일본, 유럽연합(EU)이 경쟁적으로 반도체 지원정책을 발표하고 있지만 우리 반도체 특별법은 정부와 국민의힘의 몽니로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며 "특별법 제정으로 기업들이 반도체 개발·생산에 주력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이 후보는 반도체 산업에 '주 52시간 근로시간 제한 예외 제도'를 특별법에 명시하는 문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다. 현재 민주당은 52시간 예외 제도를 명시하지 않은, 산업지원에 대한 내용만을 담은 특별법을 추진하기로 하고 지난 17일 이를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지정했다. 이 후보는 또 "반도체에 대한 세제 혜택을 넓힐 것"이라며 "국내에서 생산·판매되는 반도체에는 최대 10%의 생산세액 공제를 적용해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